“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육상산집(陸象山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공(陸宣公)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선공전집(陸宣公全集)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생(六先生)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순(陸淳) - 육질(陸質)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자. 유종원(柳宗元)ㆍ여온(呂溫) 등과 교류하고,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ㆍ《춘추집전변의(春秋集傳辨疑)》ㆍ《춘추미지(春秋微旨)》등을 지음.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식후(肉食侯)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육신(六臣)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신사당(六臣祠堂)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육신사우(六臣祠宇)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육신서원(六臣書院) - 충곡서원(忠谷書院)@연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연산(連山)에 건립된 서원. 1692년(숙종 18)에 창건되었으며, 백제의 계백(階伯)과 조선의 사육신(死六臣) 등 모두 18인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육십사괘원도(六十四卦圓圖) - 육십사괘방위도(六十四卦方位圖)
《주역(周易)》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卦)로 설정한 방위도.
중국 , 문헌>작품명
-
육씨경(陸氏經) - 다경(茶經)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육우(陸羽)가 지은, 대표적인 다도(茶道)에 관한 책. 3권.
760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육양안락향후(育陽安樂鄕侯) - 호광(胡廣)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부(太傅) 등을 지내고,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모든 정무(政務)를 잘 처리하여 ‘중용(中庸)의 재상’으로 일컬어짐.
91~17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양후(育陽侯) - 조절(曹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환관. 환관 왕보(王甫)와 함께 진번(陳蕃)ㆍ두무(竇武)ㆍ이응(李膺) 등을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18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육여(六如)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육여거사(六如居士)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육영(六霙)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육영(六韺)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육오당(六吾堂)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육우(六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