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길(允吉)@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길(允吉)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남(允南) - 초주(譙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나, 위(魏)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 천문(天文)ㆍ경서(經書)에 능하고, 저서로 《오경론(五經論)》ㆍ《고사고서(古史考書)》 등이 있음.
200~270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남악(尹南岳)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능성(尹綾城)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담수(聃壽) - 윤담수(尹聃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형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승사랑(承仕郞)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대용(尹大用) - 윤행(尹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효정(尹孝貞)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안윤덕 - 안윤덕(安潤德)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동 판관(安東判官) 안팽로(安彭老)의 아들.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지휘하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사당을 수축(修築)함.
1457~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 - 임항(任恒)
조선 전기의 유학. 간우(侃于) 임박(任博)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덕(潤德)@강윤덕 - 강윤덕(姜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윤덕(潤德)@유윤덕 - 유윤덕(柳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낸 유식(柳軾)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도승지(都承旨)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김윤덕 - 김윤덕(金潤德)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성 소윤(開城少尹)과 창녕 감무(昌寧監務)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윤량(允良) - 정윤량(鄭允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로, 이황(李滉)의 문인. 노수(盧遂)ㆍ김응생(金應生) 등과 더불어 부래산(浮來山)에 정몽주(鄭夢周)를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을 창건(創建)하였는데,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음.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윤량(閏樑) - 이윤량(李閏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서자로, 내의원 판사(內醫院判事) 등을 역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윤린(允潾) - 하윤린(河允潾)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아버지로, 선관서 승(膳官署丞)을 거쳐 순흥 부사(順興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추록되고,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짐.
1321~139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명(允明)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명(允明)@나윤명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윤명(潤明) - 최윤명(崔潤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수산군(隨山君) 최보한(崔輔漢)의 아버지로, 당진 현감(唐津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윤명(胤明)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문(允文)@이계장의아버지 - 이윤문(李允文)@이계장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계장(李繼長)의 아버지.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를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