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보(尹甫)@윤길보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윤보(潤甫)@양순석 - 양순석(梁順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임상덕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 - 방옥정(房玉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방유륜(房有倫)의 아들로, 1472년(성종 3)에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문학(文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우관 - 우관(禹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보(潤甫)@신영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輔)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保)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父) - 조계문(曺繼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위(曺偉)의 아버지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장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과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역임함.
1414~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甫) - 한장손(韓長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버지. 1458년(세조 5)에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ㆍ내자시 정(內資寺正) 등을 지냄.
1422~149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윤보(閏甫) - 이축(李蓄)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고양(高陽)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
1402~14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윤복(胤福) - 정윤복(丁胤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4~159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윤부(允夫)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윤부(潤夫)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사강(尹思康) - 윤이(尹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역신(逆臣). 한때 중이 되었다가 장죄(贓罪)를 범하고 명(明) 나라로 도망하였으며, 명 나라에 공양왕(恭讓王)과 이성계(李成桂)를 무고(誣告)하였다가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초(尹士初)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산(輪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윤산군(輪山君)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윤산부정(輪山副正)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윤상주(尹尙州)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