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적(允迪) - 원윤적(元允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천석(元天錫)의 아버지로,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윤정(允精) - 양윤정(梁允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삭녕 군수(朔寧郡守) 양치(梁治)의 아들로, 곡산 군수(谷山郡守) 등을 지냄.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정(胤鼎) - 김윤정(金胤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흥(佳興). 김득선(金得先)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ㆍ만경 현령(萬頃縣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정수(尹汀叟)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정숙(尹鼎叔) - 윤정(尹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고 특히 《주역(周易)》에 뛰어났으며, 민기(閔箕)ㆍ허엽(許曄)ㆍ이항(李恒)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1490~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윤제(允悌)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제(允濟) - 김윤제(金允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강응정(姜應貞) 등과 향약(鄕約)을 맺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소학계(小學契)ㆍ효자계(孝子契)라고 칭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조(允祖)@원윤조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윤조(允祖) - 성윤조(成允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가의(成可義)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459~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윤조(潤祖) - 신윤조(辛潤祖)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윤조(胤祖)@황윤조 - 황윤조(黃胤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좌의정을 지낸 황헌(黃憲)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윤조(胤祖)@이윤조 - 이윤조(李胤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의녕감(義寧監)에 봉해짐. 이이(李珥)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윤조(胤祖)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윤종(允宗) - 신윤종(申允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ㆍ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에 있는 명원루(明遠樓)를 개축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윤종(尹宗) - 이윤종(李尹宗)
조선 전기의 유학.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추강집(秋江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종(胤宗)@고윤종 - 고윤종(高胤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 선조(宣祖) 때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고흥운(高興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윤종(胤宗)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윤종(閏宗) - 김윤종(金閏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 때에 통신사(通信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을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준(允峻) - 황윤준(黃允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준(尹濬) - 윤용(尹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이손(尹李孫)의 아들이며, 윤개(尹漑)의 아우로, 선교랑(宣敎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