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구(元龜)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원규(元規) - 유량(庾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오빠로, 조카인 성제(成帝)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
289~34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균(元均)@전황 - 전황(田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지성도부(知成都府)를 지낼 때 촉(蜀)에서 일어난 이순(李順)ㆍ왕균(王均)의 난(亂)을 잘 다스려 백성들이 널리 칭송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근(元謹) - 박원근(朴元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박효순(朴孝順)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문사>유학
-
원기(元基) - 박원기(朴元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지몽(朴之蒙)의 아들이고,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박전(朴全)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원기(元紀)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기(圓機)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기(遠期)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원기중(袁機仲)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안선원 - 안선원(安善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안선원의 전기(傳記)인 〈안당장전(安堂長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원길(元吉)@채원길 - 채원길(蔡元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蔡貴河)의 아버지로,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한원길 - 한원길(韓元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화정(和靖) 윤돈(尹焞)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여조겸(呂祖謙)과 더불어 덕청(德淸)의 자상사(慈相寺)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1118~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조원길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길(原吉)@하원길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길(原吉)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니(圓尼) - 도원(道圓)
조선 전기의 비구니. 안림역리(安林驛吏)의 아내였으나 남편이 죽은 후 재가하지 않다가 만년에 가야산(伽倻山)의 도엄(道嚴) 승려에게 선(禪)을 배우고 정각암(淨覺庵)을 짓고 기거함. 김종직(金宗直)이 그에게 보낸 시가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원단(元旦)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달(元達) - 교지명(喬智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현령(縣令)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神君)이라는 칭송을 받음. 혜제(惠帝)가 업(鄴)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趙) 나라로 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담(元琰) - 등완(鄧琬)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 때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인 유자훈(劉子勛)을 황제로 옹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살해됨.
407~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