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량(元良)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령(元秢) - 박원령(朴元秢)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박유정(朴惟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위원례 - 위원례(韋元禮)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위표미(韋表微)의 7세조(世祖)로 미성공(郿城公)에 봉해짐.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이응 - 이응(李膺)@후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 때 두무(竇武)와 함께 환관(宦官)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曹節)에게 피살됨. 공융(孔融)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 부름.
110~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송석충 - 송석충(宋碩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야로(冶爐). 현령(縣令) 송륜(宋綸)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굉필(金宏弼)ㆍ최부(崔溥) 등 교유하던 인물들이 화(禍)를 당하자 향리(鄕里)에 내려가 서사(書史)에 몰두함.
1454~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원로(元老)@탁기 - 탁기(卓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이고, 탁지(卓智)의 동생이며, 탁성손(卓成孫)ㆍ탁성윤(卓成胤)의 아버지. 종숙(從叔) 탁함(卓諴)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원로(元老)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원로(元老)@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이창년 - 이창년(李昌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 이중희(李仲禧)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안충(李安忠)의 아버지로,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윤원로 - 윤원로(尹元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이자 윤원형(尹元衡)의 형. 왕실의 외척으로 득세 후 김안로(金安老)ㆍ윤임(尹任)과 대립하다가 유배되었으며, 후에 윤원형과 권력을 다투다가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로(元老)@이장경 - 이장경(李長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加平). 이철근(李鐵根)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이이(李頤)의 아버지.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냄.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虜)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로(元老)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로(原鲁)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로(猿老)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로(遠老)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록(元祿)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록(元祿)@이원록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원룡(元龍)@진등 - 진등(陳登)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 태수(廣陵太守)와 동성 태수(東城太守)를 지냄. 자신을 크게 자부하여 손님은 아래에 있는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위에 있는 큰 침대에 누웠다 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