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룡(元龍)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원릉(元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릉(元陵) - 헌정왕후(獻貞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차비(次妃). 종실 대종(戴宗)의 딸이며, 경종의 비인 헌애왕후(獻哀王后)의 친동생. 경종이 죽은 뒤 안종(安宗) 왕욱(王郁)과 가까이 하여 현종(顯宗)을 낳고 곧 죽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릉(原陵)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릉군(原陵君) - 원균(元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과 합세하여 옥포(玉浦) 등지에서 연승함.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
1540~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리(元履)@유원리 - 유원리(柳元履)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숙종(肅宗) 때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낸 유세명(柳世鳴)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리(元履)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린(元璘) - 안원린(安元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 안우(安祐)의 아버지로, 검교중추원사(檢校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원명(元明) - 강희철(姜熙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훈도(訓導)를 지낸 강필주(姜弼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문사>유학
-
원명(元明)@담약수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명(元明)@김자지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김약회 - 김약회(金若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전라도 태인(泰仁)에 한정(閑亭)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원명(原明)@유인숙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여희철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명(原明)@강희철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원명(圓明) - 해원(海圓)
고려 후기의 승려. 검교감(檢校監)을 지낸 조혁(趙奕)의 아들로, 원(元) 나라 안서왕(安西王)의 초빙을 받아 원 나라에서 활동함. 무제(武帝)의 원찰(願刹)인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의 초대 주지로 임명되는 등 원 나라 황실의 지극한 예우를 받음.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종교인>승려
-
원명(源明) - 소원명(蘇源明)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거쳐 국자 사업(國子司業)을 지냄. 두보(杜甫)와 절친하게 지내, 두보가 그를 포함한 여덟 명의 명신(名臣)을 애도하여 지은 팔애시(八哀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명곡(圓明谷) - 명곡(明谷)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학자이자 문신인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여, 《태재집(泰齋集)》에 증시(贈詩)와 〈백련암기(白蓮庵記)〉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종교인>승려
-
원문(元文)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