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석(元石) - 왕개(王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왕야(王埜)의 아버지로,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에게 배웠음. 직언(直言)을 잘하였고 집영전 수찬(集英傳修撰)을 역임함.
1158~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석(元碩) - 정원석(鄭元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삼군도진무사(三軍都鎭撫使) 정효전(鄭孝全)의 아들.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연루되어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선중(轅宣仲)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원성(元成) - 위징(魏徵)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문신.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李密)의 서기가 되었다가, 태종(太宗)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諫臣)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
580~64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원성(元聖)@주공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원성(元聖)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윤원성 - 윤원성(尹元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도(訓導)를 지내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기자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성(原城)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원성공주(元成公主) -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비. 원(元) 세조(世祖)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에 체류하였을 때 결혼하여 충선왕(忠宣王)을 낳음. 독실한 불교도로 불사(佛事)에 많은 공을 들임.
1259~1297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성군(原城君)@이탁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군(原城君)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성도정(原城都正)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령(原城令)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백(原城伯) - 원극유(元克猷)
고려 태조(太祖) 때의 개국공신. 병부령(兵部令)을 지냈으며 원성백(原城伯)에 봉해짐. 원주원씨(原州元氏) 원성백파(原城伯派)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원성변씨(原城邊氏) - 원주변씨(原州邊氏)
고려 우왕(禑王) 때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에 봉해진 변안렬(邊安烈)을 시조로 하는 성씨. 황주변씨(黃州邊氏)의 시조인 변여(邊呂)의 후손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성부정(原城副正)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원씨(原城元氏) - 원주원씨(原州元氏)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사신으로 온 당(唐) 나라 팔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인 원경(元鏡)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계보(系譜)를 달리하는 운곡공계(耘谷公系)ㆍ원성백계(原城伯系)ㆍ시중공계(侍中公系) 등 세 계통이 있음.
한국>고구려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