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성유씨(元城劉氏)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태후(元城太后)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소(圓炤)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손(元孫) - 이원손(李元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에 참여하였으며, 대간(臺諫)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參議)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손(元遜) - 제갈각(諸葛恪)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총애를 받았고 태자 손량(孫亮)을 영립하여 보필함. 육손(陸遜)이 죽은 후에 대장군(大將軍)으로 무창(武昌)에 주둔하며 형주(荊州)를 다스리다 반대파 손준(孫峻)에 의해 살해당함.
203~25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수(元秀)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수(元秀)@이원수 - 이원수(李元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이(李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원수(圓叟)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숙(元叔)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원숙(元淑) - 홍원숙(洪元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병조 참판(兵曹參判) 홍자아(洪自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원숙(原叔) - 왕수(王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벼슬이 시강학사(侍講學士)에 이르고 《역전(易傳)》등의 저술을 남김. 당(唐) 나라 두보(杜甫)의 시문집(詩文集) 《두공부집(杜工部集)》20권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숭(元崇)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숭(元崇)@안원숭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승(元承) - 이원승(李元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원신(元信) - 정사(淨師)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이 써준 〈서원신권(書元信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원신(元臣) - 김원신(金元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수(金脩)의 아들로, 본관은 연안(延安).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원신택주(元信宅主)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원씨(袁氏) - 원자(袁滋)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유벽(劉辟)과 오원제(吳元濟)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암(遠巖)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암(遠庵)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