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암(遠庵)@조사하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앙(爰盎) - 원앙(袁盎)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직간(直諫)하는 신하로 유명했는데 자주 직간하여 농서 도위(隴西都尉)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양왕(梁王)에게 원망을 사서 살해당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양군(原陽君) - 변사겸(邊士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양군(原陽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어(元馭)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언위(元彦偉) - 원사용(元士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붕(元鵬)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였으며,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여(元輿) - 진헌(陳軒)
중국 송(宋)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관직으로 병부 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열(元烈)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영(圓映)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영(圓暎)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영(源英) - 이원영(李源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창근(李昌根)의 아버지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오(元五) - 원개(元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고행(高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오(圓悟)@혜원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오(圓悟)@원오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오노인벽암록(圜悟老人碧嚴錄)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원옹(元翁)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옹(圓翁)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완(元琬) - 등완(鄧琬)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 때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인 유자훈(劉子勛)을 황제로 옹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살해됨.
407~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용(元用) - 홍원용(洪元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이조 판서 홍여방(洪汝方)의 아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의 적장(嫡長)으로 강녕군(江寧君)에 습봉되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원우(元友)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원우삼당(元祐三黨)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