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정(元正)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정(元正)@조원정 - 조원정(曺元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을 도운 공으로 장군에 오름. 자신을 좌천시킨 두경승(杜景升) 등에게 원한을 품고 석린(石隣) 등과 모의하여 제거하려다가 그 사실이 발각되어 살해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정(元正)@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 - 강사미(姜士美)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추밀원사(樞密院使)ㆍ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박원정 - 박원정(朴元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흥군(延興君) 박고(朴翺)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금원정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원정(元靖)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靜)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鼎)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정(原靖)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정(圓亭)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원정(猿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정가(寃情歌) - 원분가(寃憤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이 지은 가사. 1537년(중종 32) 2년 여의 흥양(興陽) 유배에서 풀려난 뒤 유배 당했을 때의 심경을 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문헌>작품명
-
원정국사(圓靜國師) - 경지(鏡智)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희종(熙宗)의 넷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원제(元帝)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제(元濟) - 오원제(吳元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채주 자사(蔡州刺史)로 있으면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절도사(節度使) 이소(李愬)에게 사로잡혀 장안(長安)에서 참수됨.
?~817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원조(元朝)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조(元祖)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조(原朝)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조명신사략(元朝名臣事略) - 국조명신사략(國朝名臣事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소천작(蘇天爵)이 저술한 책.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