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지(元之)@신승선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조수원 - 조수원(曺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조석문(曺錫文)의 손자.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1487~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원지(元之)@요숭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안보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 - 서태원(徐兌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해 훈도(南海訓導)를 지냈으며, 자암(自菴)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南海)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이세인 - 이세인(李世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李沆)의 아버지. 부제학(副提學)ㆍ황해 감사(黃海監司)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곧은 성품으로 사림의 명망을 얻었음.
1452~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최원지 - 최원지(崔元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지평(持平) 등을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버지로, 공민왕(恭愍王) 때 과거에 급제하여 종부시 영(宗簿寺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왕우칭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이선장 - 이선장(李善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균(李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원지(元之)@유자미 - 유자미(柳自湄)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종 때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지곡송학도(芝谷松鶴圖)〉한 점이 전함. 양산(梁山)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智) - 박원지(朴元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유학 박승리(朴承李)의 아버지로, 풍산 만호(豊山萬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원지(員之)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지(垣之) - 이선(李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영월 군수(寧越郡守) 이각(李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원지(源之) - 심지원(沈之源)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원래 이이첨(李爾瞻)의 대북파(大北派)였으나 광해군 때 은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기용되어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1593~16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 - 서서(徐庶)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魏) 나라의 책사(策士). 처음에는 유비(劉備)를 섬기다가 조조(曹操)에 의해 어미가 볼모가 되자, 대신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고 조조에게 귀속(歸屬)했으나 조조를 위해 지모(智謀)를 발휘하지는 않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탁원직 - 탁원직(卓元直)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둘째 아들로,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이소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진(元振)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진(元眞)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진(元眞)@탁원진 - 탁원진(卓元眞)
고려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도집(卓道集)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