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형(元衡)@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원형(元衡) - 윤원형(尹元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동생. 소윤(小尹)의 영수로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정미사화(丁未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 등 반대파를 숙청하고 공신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지냄.
?~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형(元衡)@무원형 - 무원형(武元衡)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재상(宰相). 813년(원화 8)에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재상이 되어 번진세력(藩鎮勢力)을 약화시킴. 이사도(李師道)가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됨.
758~81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혜(元惠)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원혜태후(元惠太后)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호(元浩) - 최원호(崔元浩)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다진 최충헌(崔忠獻)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내고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英烈佑聖功臣三中大匡門下侍中)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무신
-
원화(元化)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원화(元和) - 이원화(李元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원회(元晦)@홍언광 - 홍언광(洪彦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형(洪泂)의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백형(伯兄) 홍언필(洪彦弼)과 함께 진도(珍島)로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났으며,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역임함.
1484~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회(元晦)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회(元會)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효(元孝)@김원효 - 김원효(金元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원효(元孝)@이원효 - 이원효(李元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종(成宗)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의 아버지로, 충청도 감사(忠淸道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효(元孝)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효(圓曉)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원효(源孝)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원효당(元曉堂) - 원효사(元曉寺)
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건립한 사찰.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元曉庵)ㆍ원효당(元曉堂) 등으로 불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
한국>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원효암(元曉庵) - 원효사(元曉寺)
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건립한 사찰.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元曉庵)ㆍ원효당(元曉堂) 등으로 불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
한국>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원후(元后)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원후(元詡)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