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월영당(月影堂)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월오(月塢) - 윤규(尹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천성이 자연을 좋아하여 출사하지 않고 고령(高靈)의 죽연정(竹淵亭)에서 심성을 도야함.
1500~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월왕(越王) - 구천(句踐)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65. 아버지 합려(闔閭)의 복수를 준비하고 있던 오(吳) 나라의 왕 부차(夫差)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쓸개를 맛보며 국력을 키워 마침내 오 나라를 멸망시킴.
?~B.C.46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월자(月姊)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월정(月汀)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로(月汀老)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만록(月汀漫錄) - 월정만필(月汀漫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수필집. 우리 나라와 중국의 역사 고증ㆍ풍속ㆍ문장ㆍ필법ㆍ시화(詩話)ㆍ인물ㆍ설화ㆍ풍수ㆍ복서(卜筮)ㆍ중사(中使) 접대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
159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정부원군(月汀府院君)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산로(月汀散老)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상공(月汀相公)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선생집(月汀先生集) - 월정집(月汀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의 시문집. 11권 7책. 목판본. 손자 윤정지(尹挺之)가 편집ㆍ교정하여 윤복지(尹履之)와 나누어 간행하고, 1773년(영조 49)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별집(別集)을 간행함.
164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ㅣ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월조평(月朝評) - 월단평(月旦評)
인물에 대한 품평(品評)을 일컫는 말. 중국 후한(後漢) 때 여남(汝南)의 허소(許劭)와 허정(許靖)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가했다는 데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율곡병수(栗谷病叟)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곡선생문집(栗谷先生文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시집(栗谷詩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주인(栗谷主人) - 이의석(李宜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이의무(李宜茂)의 형으로, 홍주 통판(洪州通判)을 지냄. 파주(坡州)에 화석정(花石亭)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율곡집(栗谷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학사(栗谷學士)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구(栗口)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