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율이(栗耳)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율재(栗齋)@공풍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율재(栗齋)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율전(津田) - 삼사랑(三四郞)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신.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하여 명(明) 나라 사신과 협상할 때 보좌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율정(栗亭)@김복억 - 김복억(金福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약묵(金若默)의 맏아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등을 지냄.
15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 - 심극효(沈克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의 종형(從兄). 청학동(靑鶴洞)에 율정(栗亭)을 짓고 청학노선(靑鶴老仙)이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이관의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권절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윤택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홍천민 - 홍천민(洪天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인. 교지(敎旨)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율정난고(栗亭亂稿) - 율정난고(栗亭亂稾)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절(權節)이 지은 시문집. 이이(李珥)가 지어준 서문(序文)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고, 책은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율제(栗磾)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율진(栗津)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율천(栗川)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
-
융(戎)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융(融)@박융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융(隆)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융경(隆慶)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경(隆景)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碧蹄館)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明)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 금산(金山) 이치(梨峙)에서는 권율(權慄)에게 대패당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융경제(隆慶帝)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