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융곡(隆谷)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융길(隆吉) - 윤횡(尹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의신(尹宜臣)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56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융범(隆範)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융안(隆安) - 안제(安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0대 황제. 재위 396~418.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404년 환현(桓玄)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帝位)를 선위(禪位)함. 환현을 토벌한 유유(劉裕)에 의해 복위(復位)되었으나 살해됨.
382~4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우(戎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우태후(隆祐太后)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융준(隆準)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중(隆中)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융중룡(隆中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융평릉(隆平陵)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㶏)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垠)@정은 - 정은(鄭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지낸 정인학(鄭仁學)의 아버지. 해인사에서 불경을 인행(印行)할 때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은(垠) - 윤은(尹垠)
조선 전기의 문신. 윤희제(尹希齊)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부마인 윤사로(尹師路)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은(檃) - 김은(金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조 판서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형으로, 임진왜란에 해를 당함. 송익필(宋翼弼)이 그의 자(字)를 지어 주고 적은 글이 《구봉집(龜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은(殷)@권은 - 권은(權殷)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박수춘(朴壽椿) 등의 동문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와 자설(字說)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은(溵)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은(訔)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은(誾)@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은(誾)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은(隱) - 강은(姜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권근(權近)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