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음애(陰崖) - 이은(李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別科)에 추천되었으며,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음애선생집(陰崖先生集) - 음애집(陰崖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자(李耔)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도흥(李道興)과 이이장(李彝章)이 수집ㆍ편찬하여 1754년(영조 30)에 간행함. 김재로(金在魯)의 서문과 권만(權萬)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음여화(陰麗華)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음잠(陰岑)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음주(陰州) - 음죽(陰竹)
경기도 동남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 내륙지방의 교통요지로서 도로가 발달하였고, 천민천(天民川)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쌀이 많이 생산됨.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利川市)에 편입됨.
경기도>음죽 , 지명>행정지명
-
음죽야(陰竹埜)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음중선(飮中仙) - 노삼(魯參)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판관(判官)을 역임했고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수정하는데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음황후(陰皇后) -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비(妃). 음장생(陰長生)의 증손으로, 학문을 즐겨 숭상했다고 함.
?~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음후(陰后)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읍각로(泣閣老)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읍령(泣嶺)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읍루(挹婁)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읍청(挹淸)@박사종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읍청(挹淸)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청당(挹淸堂)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읍청정(挹淸亭)@김부의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청주인(挹淸主人)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취(挹翠)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읍취집(挹翠集) -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ㆍ학자인 박은(朴誾)의 시문집(詩文集). 1514년(중종 9)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초간(初刊)함.
151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읍취헌(挹翠軒)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