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경(應慶)@송응경 - 송응경(宋應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송인수(宋麟壽)의 아들이며, 단양수(丹城守) 이진(李鎭)과 지퇴당(知退堂) 이정형(李廷馨)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慶)@이응경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慶) - 유승선(柳承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음 현감(江陰縣監)을 지낸 유정(柳貞)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계(凝溪)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응공(應供)@아라한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응공(應供)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응공(應恭)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응관(應寬) - 조응관(趙應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응구(應榘)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구(應求)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응구(應龜)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응국(應國)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
-
응귀(應龜) - 김응귀(金應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공조 정랑 (工曹正郞) 김광우(金光佑)의 아들.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등을 지내고, 유덕종(柳德種)과 교유함.
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圭) - 유응규(庾應圭)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음보(蔭補)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工部侍郞)에 이름.
1131~11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奎)@안응규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장응규 - 장응규(張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지례(知禮)로,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장지효(張至孝)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 - 윤응규(尹應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주 목사(尙州牧師) 윤탕(尹宕)의 아들이자 죽재(竹齋) 윤인함(尹仁涵)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奎)@김응규 - 김응규(金應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종의 신임을 받은 김응기(金應箕)의 아우로, 평안도 향공(鄕貢)으로 삼과(三科)에서 장원하였으나 진사 회시(進士會試)의 과장(科場)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황응규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期)@송응기 - 송응기(宋應期)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귀수(宋龜壽)의 아들이며, 병조 좌랑(兵曹佐郞) 송방조(宋邦祚)와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의 아버지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