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두(應斗)@정응두 - 정응두(丁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정옥형(丁玉亨)의 아들로,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려(應呂) - 금응려(琴應呂)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를 수창하며 지냈으며, 습독관(習讀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렬(應烈) - 이응렬(李應烈)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무신정권기의 권신 임유무(林惟茂)의 장인으로, 사공(司空) 등을 지냄. 원종의 밀명(密命)을 받은 송송례(宋松禮)에 의해 임유무가 제거되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유응룡 - 유응룡(柳應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의정을 지낸 유순(柳洵)의 장남.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남응룡 - 남응룡(南應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혔고, 벼슬은 직제학(直提學)과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함.
151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최응룡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응린(應麟)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린(應麟)@김응린 - 김응린(金應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1519년(중종 14) 문과 별시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응림(應臨) - 하응림(河應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서(書)ㆍ화(畫)에도 능했음.
153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림(應霖)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립(凝立)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응립(應立)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명(應明)@민천부 - 민천부(閔天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汶)의 아버지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냄.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응명(應明)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무(應武) - 김응무(金應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목사(牧使)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 좌의정을 지낸 아들 김귀영(金貴榮)으로 인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응문(應文)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물(應物) - 이인(李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증수(李增壽)의 아들로, 1517년(중종 12)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응물(應物)@위응물 - 위응물(韋應物)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玄宗)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左司郞中)ㆍ소주 자사(蘇州刺史) 등을 지냄.
737~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