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의구(宜臼)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국공(義國公) - 방득세(方得世)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방신우(方臣祐)의 아버지로, 영록대부(榮祿大夫) 주국(柱國)에 임명되고 의국공(義國公)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의귀(義貴)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근(義根) - 이의근(李義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구(金溝). 영산 현감(靈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의남(義男) - 이의남(李義男)
조선 전기의 무신. 만호(萬戶)를 지냈으며,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하며 수작한 시가 《송강집(松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의녕감(義寧監) - 이윤조(李胤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의녕감(義寧監)에 봉해짐. 이이(李珥)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덕(懿德)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덕단양제경정순왕후(懿德端良齊敬定順王后)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덕왕대비(懿德王大妃)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동(意同) - 김성지(金誠之)
조선 전기의 문인.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의랑(義郞) - 허해(許晐)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변계량(卞季良)의 《춘정집(春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의려(醫閭)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려동(醫閭洞) - 의무려동(醫巫閭洞)
중국 요령성(遼寧省) 의무려산(醫巫閭山) 아래에 있는 신당인 북진묘(北鎭廟) 부근에 있는 골짜기.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려산(醫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령군(宜寧君)@남군보 - 남군보(南君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제수받고 의령(宜寧)으로 관적(貫籍)하여 중시조(中始祖)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군(宜寧君)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군(宜寧君)@남은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령군(義寧君) - 이맹종(李孟宗)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 남을번(南乙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됨.
1320~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남재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