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헐후체(鄭歇後體) - 정오헐후체(鄭五歇後體)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정계(鄭綮)가 쓴 시체(詩體). 헐후(歇後)는 뒤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앞의 은유어로 대신하고 말하지 않는 문체로, 정계가 시에 능하여 헐후체를 사용하여 시사를 풍자한 데서 비롯됨.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정현계(鄭玄繼)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현대비(貞顯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현왕비(貞顯王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현중(鄭顯仲)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형(廷馨) - 이정형(李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탕(李宕)의 아들이며, 정윤희(丁胤禧)의 문인. 성리학(性理學) 등 다방면에 밝고, 이원익(李元翼)ㆍ이호민(李好民)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조 참판 등을 지냄.
1549~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혜(正惠)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혜(貞惠)@박수량 - 박수량(朴守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태인(泰仁).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청렴결백하여 청백리에 뽑힘.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정혜(貞惠) - 고약해(高若海)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지냄.
1377~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정혜(貞惠)@양원군 - 양원군(楊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막내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중종(中宗) 원년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옥책(玉冊)을 개정(改正)하여 원종일등훈(原從一等勳)이 사급됨.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혜(靖惠)@성직 - 성직(成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大字)를 잘 썼음.
1586~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혜(靖惠) - 이찬(李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중종 때 이임(李任) 등을 탄핵한 일로 부여(扶餘)에 유배되었다가 사면된 뒤 집의(執義)ㆍ시강관(侍講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정혜묘원자행대사(定慧妙圓慈行大師) - 목헌(木軒)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남산종(南山宗)의 종사(宗師). 충숙왕 때 개국사(開國寺)를 중수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정혜문자(貞惠文子) - 공숙발(公叔拔)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영공(靈公) 때의 대부. 가신(家臣)으로 있던 선(僎)을 대부로 추천하여 함께 조반(朝班)에 올랐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정혜사(定慧社) - 수선사(修禪社)
고려 명종(明宗) 때의 승려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결성한 신앙결사단체, 혹은 그 사찰. 1190년(명종 20) 경상도 대구(大丘) 공산(公山) 거조사(居祖社)에서 정혜사(定慧社)라는 명칭으로 결성하였으며, 이후 조계산(曹溪山)으로 옮기고 수선사로 개칭함.
11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ㅣ인명>집단>조직
-
정혜원융(定慧圓融)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정혜원통(定慧圓通)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정호(丁胡)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호(挺豪) - 최정호(崔挺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최수도(崔守道)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냄.
1573~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정호(靖胡) - 김수(金需)@고려후기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김천서(金天瑞)의 아들로, 정종(定宗)의 비(妃)인 순덕대비(順德大妃)의 오빠.
1338~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