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후(靖厚)@연사종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후(靖厚)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후(靖后) - 애정왕황후(哀靖王皇后)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제10대 애제(哀帝)의 황후. 태원(太原) 진양(晉陽) 사람으로, 황후가 된 지 3년 만에 죽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후(靜厚) - 김정후(金靜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인재(認齋) 김현도(金玄度)의 아들이며, 최립(崔岦)의 문인(門人). 문장에 능하여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으며, 옹진 군수(甕津郡守) 재직 중 고위층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함.
1576~164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정흥덕(鄭興德) - 정광익(鄭光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흥덕 현감(興德縣監)을 지냄.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흥왕(定興王) - 장보(張輔)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목성(沐晟)과 함께 안남을 평정하는 등 여러 지방을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움.
1375~144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흥정(鄭興禎) - 정기손(鄭祺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ㆍ서자적(徐自適)ㆍ홍인필(洪仁弼)ㆍ박원량(朴元良)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흥충렬왕(定興忠烈王) - 장보(張輔)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목성(沐晟)과 함께 안남을 평정하는 등 여러 지방을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움.
1375~144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희(正喜)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희(貞僖)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희(貞僖)@이기하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정희(貞禧) - 정보천(鄭普天)
고려시대의 문신. 온양정씨(溫陽鄭氏)의 시조(始祖).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르고,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희(靖僖) - 해안군(海安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과 사옹원(司饔院)ㆍ문소전(文昭殿)의 도제조(都提調)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희대비(貞熹大妃)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희왕후윤씨(貞熹王后尹氏)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제(怟) - 이제(李怟)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맏아들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제(悌)@양제 - 양제(梁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고조(高祖).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제(悌) - 남제(南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함. 강희맹(姜希孟) 누이의 아들로, 《사숙재집(私淑齋集)》에 강희맹의 기시(寄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제(悌)@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제(提) - 정제(鄭提)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원군(河原君) 정수충(鄭守忠)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