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국(濟國) - 백제(百濟)
고대의 삼국 가운데 온조왕(溫祚王)이 기원전 18년에 한반도 남서부에 세운 국가. 온조왕부터 의자왕(義慈王)까지 31대 678년간 존속.
B.C.18~A.D.660 한국>백제 , 시간>국명
-
제국공(濟國公)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제국공(齊國公)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국기(諸國記) -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일본(日本)에 관한 저서. 2책. 필사본. 일본의 지세ㆍ문물, 조선과의 외교관계의 대강을 기록하였음.
14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제남(悌男)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남생(濟南生) - 복승(伏勝)
중국 한(漢) 나라 때의 경학자(經學者). 제남(濟南) 사람으로, 문제(文帝)가 경전을 복원할 때 《상서(尙書)》를 구술(口述)하여 세상에 전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제납박타존자(提納薄陀尊者)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제녀(齊女) - 선(蟬)
매미. 옛날 제(齊) 나라의 왕후가 억울하게 죽은 뒤에 매미로 변해서 궁정 앞의 나무에 올라 애달프게 울었다는 전설에서 기인하여, 후비(后妃)나 궁녀(宮女)의 비원(悲怨)을 상징함.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영선(詠蟬)〉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려 있음.
자연물>동물
-
제년(齊年) - 홍제년(洪齊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회인(懷仁). 영의정(領議政) 홍윤성(洪允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인 , 인명>문사>유학
-
제노(齊奴) - 석숭(石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부호(富豪). 형주 자사(荊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팔왕(八王)의 난(亂) 때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살해됨.
24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당(帝唐)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대(濟大) - 김용겸(金用謙)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창즙(金昌緝)의 아들.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게 경서(經書)와 예서(禮書)를 배웠으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702~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도(齊度)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제도공(齊悼公) - 도공(悼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488~B.C.485. 경공(景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로 망명해 있다가 안유자(晏孺子)의 뒤를 이어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동야인(齊東野人)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제두(齊斗) - 유제두(柳齊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학 유경지(柳瓊枝)의 아들로, 서산유씨(瑞山柳氏) 31세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제량(諸梁) - 심제량(沈諸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논어(論語)》에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론(齊論)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릉(齊陵)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제만(齊滿)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