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만(齊萬)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무왕(齊武王)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제문(帝文)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물수(齊物叟)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제미(齊眉)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제미거안(齊眉擧案)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제민(齊民)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제민(齊閔)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제민(齊閔)@이제민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제박(濟泊)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제백(濟伯) - 신벌(申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낸 신응구(申應榘)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23~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병(帝昺)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보(濟甫)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보(濟甫)@이공인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제봉(霽峯)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제봉주옹(霽峯主翁)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조혜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신장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상(堤上)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