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상(齊相)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생군(濟生君)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제선(齊宣)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수(濟叟)@이공장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제수(濟叟) - 신여즙(申汝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충(申冲)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수(濟叟)@신의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제숙(齊肅)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순(帝舜)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순(悌筍) - 금제순(琴悌筍)
조선 전기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금의순(琴義筍)의 동생으로, 관직은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제순중화(帝舜重華)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신(帝辛)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신(悌臣)@김제신 - 김제신(金悌臣)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연산군 때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金宗直)의 처형을 주장함.
1438~149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제신(悌臣)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신(濟臣)@1536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신(濟臣)@1510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제안(濟安) - 최제안(崔濟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최순(崔順)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제안(齊安)@정제안 - 정제안(鄭齊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판관(判官)을 지낸 정회아(鄭懷雅)의 아버지. 1405년(태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성균생원(成均生員)이 되고, 재화(才華)가 있었다고 함.
1390~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제안(齊安)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안(齊晏)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안(齊案)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