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왕(齊王)@유비 - 유비(劉肥)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맏아들. 제왕(齊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이원길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제왕(齊王)@열조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왕(齊王)@유양 - 유양(劉襄)
중국 전한(前漢)의 제(齊) 도혜왕(悼惠王) 유비(劉肥)의 아들. 혜제(惠帝) 때 유비(劉肥)의 뒤를 이어 제왕(齊王)이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선왕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왕대기(帝王大紀) - 제왕세기(帝王世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의 저서. 고대부터 조위(曹魏)까지의 황제(皇帝)들의 사적(事跡)을 기록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왕유(齊王攸)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제요(帝堯)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요방훈(帝堯放勳)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용(濟用) - 신숙(辛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정언(正言)을 지낸 신건(辛健)의 아버지이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낸 강석덕(姜碩德)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제우(帝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우당(悌友堂)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제우씨(帝虞氏)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운(霽雲) - 남제운(南霽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장군. 안녹산(安祿山)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원(悌元)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월(霽月)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제월당(霽月堂)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제월당선생집(霽月堂先生集) - 제월당집(霽月堂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송규렴(宋奎濂)의 문집. 7권 4책. 목활자본. 현손 송기정(宋基鼎)이 산문(散文)을 수집하고, 초천(蕉泉) 김상휴(金相休)의 질정을 받아 1819년(순조 19)에 간행함.
181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월재(霽月齋)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위(齊威) - 위왕(威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78~B.C.343. 환공(桓公)의 아들로, 추기(鄒忌)ㆍ전기(田忌)ㆍ손빈(孫臏)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 임치(臨淄)의 직하(稷下)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