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을(帝乙)@탕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음왕(濟陰王)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의(齊懿) - 이숙(李淑)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373~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인(齊仁)@박제인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제인(齊仁)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제자(帝子)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제장(齊莊) - 장공(莊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53~B.C.548. 영공(靈公)의 아들로, 대부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 당함.
?~B.C.5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전(帝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제정(霽亭)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정(齊靖) - 신효창(申孝昌)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와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역임하였으나, 탄핵을 받아 무주(茂朱)로 귀양 갔다 돌아옴.
?~145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정선생문집(霽亭先生文集) - 제정집(霽亭集)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달충(李達衷)의 문집. 조선 세종(世宗) 때 손자 이영상(李寧商)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있으면서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고, 이후 후손들에 의해 중간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문헌>서명
-
제정운수(霽亭耘叟)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주(齊主)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중(制仲) - 권극관(權克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감역(監役)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이경석(李景奭)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백헌집(白軒集)》에 전함.
1546~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지(齊之) - 권오행(權五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처형되던 해에 문과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제차파의(齊次巴衣)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제창(濟昌)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제천(濟川) - 가섭(賈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가사도(賈似道)의 아버지로 관직은 경동하북로 진무대사(京東河北路鎭撫大使)에 이름.
1178~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천군(堤川君) - 이온(李蒕)@이친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셋째 아들.
1441~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제천재(濟川材)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