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稠)@허조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조(稠) - 박조(朴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냄.
147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조(肇) - 김조(金肇)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임견미(林堅味)의 일파로 최영(崔瑩)에 의해 참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조(藻) - 박조(朴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성군(密城君) 박광영(朴光榮)의 맏아들이며 낙촌(洛村) 박충원(朴忠元)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조(調)@이조 - 이조(李調)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 이사성(李思誠)의 아들.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조(調) - 박조(朴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내고, 성리학을 연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造) - 정조(鄭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광해군 때 윤인(尹訒)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조^소(曹^蕭) - 소^조(蕭^曹)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소하(蕭何)와 조참(曹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간송(趙澗松)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조개모낙화(朝開暮落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조건중(曺楗仲)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검(祖儉)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겸(祖兼)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조겸(祖謙)@여조겸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겸(祖謙)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조경(調卿) - 박인량(朴寅亮)@박자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낸 박자기(朴自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조경(趙卿)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경(趙敬) - 익조(翼祖)@송
중국 송(宋)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조부. 태조(太祖) 건융 원년(建隆元年, 960)에 익조(翼祖)로 추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경(趙炅) - 태종(太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976~997. 태조(太祖)의 동생으로, 중국 전토를 통일하고 국가 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여, 문화적ㆍ경제적 번영의 기틀을 마련함.
939~99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경순(刁景純) - 조약(刁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ㆍ문장가. 소식(蘇軾)과 교유했으며, 만년(晩年)에는 고향인 윤주(潤州)로 돌아가 문한(文翰)으로 여생을 마쳤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