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경양(趙景陽)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조경일록(朝京日錄) - 조천일기(朝天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기행문. 목판본. 1권 1책. 저자가 1636년(인조 14)에 동지사(冬至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조선 사절이 명 나라에 다녀온 마지막 기록으로 남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경임(趙景任) - 조희윤(趙希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낸 조숭조(趙崇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계(曺溪)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조계(棗溪) - 정만종(鄭萬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언관(言官)을 지낼 때 행신(幸臣)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탄핵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송순(宋純)ㆍ윤순(尹洵)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조계(潮溪)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조계임(趙季任)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공보(趙公保)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공보(趙恭父)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광보(趙光輔)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광윤(趙匡胤)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광의(趙匡義) - 태종(太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976~997. 태조(太祖)의 동생으로, 중국 전토를 통일하고 국가 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여, 문화적ㆍ경제적 번영의 기틀을 마련함.
939~99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광좌(趙光佐)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구(趙構) - 고종(高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1127~1162. 여진족(女眞族)이 침략했을 때 남부로 망명하여 왕조를 재건함.
1107~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국공(曹國公)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굴원문(弔屈原文) - 조굴원부(弔屈原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가의(賈誼)의 시. 굴원(屈原)의 초사(楚辭)를 계승하여 소체(騷體) 혹은 초사(楚辭)로 불리며, 초사(楚辭)에서 한부(漢賦)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귀(曹鬼)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조귀성(趙貴誠) - 이종(理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4대 국왕. 재위 1225~1264년. 조광윤(趙匡胤)의 아들인 조덕소(趙德昭)의 구세손(九世孫). 영종(寧宗) 사후에 재상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국정운영을 못하여 몽고(蒙古)에게 장강(長江) 이북을 할양함.
1205~12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귀화(趙貴和)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균(趙均)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