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금구(趙金溝)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기(趙禥) - 도종(度宗)
중국 송(宋)의 제15대 황제. 재위 1264~1274. 이종(理宗)의 조카며 복왕(福王)의 아들로 재임 중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이 권력을 잡았음
1240~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길(趙佶) - 휘종(徽宗)
중국 송(宋)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100~1125. 신종(神宗)의 아들. 호사(豪奢)와 도교(道敎)에 빠져 정치(政治)를 돌보지 않았음. 1125년 금(金) 나라가 침입하여 퇴위(退位)하였으나, 1127년 흠종(欽宗)과 함께 금의 포로가 되어 배소(配所)인 만주에서 병사함.
108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남명(曺南冥)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년(兆年) - 박조년(朴兆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와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조년(兆年)@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조대(釣臺) - 조룡대(釣龍臺)
충청도 부여(扶餘)의 백마강(白馬江) 가운데 있는 바위. 당(唐) 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마(白馬)를 미끼로 용(龍)을 낚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조대가(曹大家) - 반소(班昭)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으로, 〈팔표(八表)〉와 〈천문지(天文志)〉 등 《한서(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여계(女誡)》를 저술함.
49?~1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조덕창(趙德昌)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도(祖道)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도(趙圖) - 성기도(誠幾圖)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조사하(趙師夏)가 지은 성(誠)의 해설 도식(圖式). 무위(無爲)의 개념인 성이 움직일 때 선기(善幾)와 악기(惡幾)의 기(幾)로 갈라지는 형상을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돈(趙惇) - 광종(光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1189~1194. 효종(孝宗)의 셋째 아들. 효종의 선위(禪位)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妃) 이봉랑(李鳳娘)의 의견을 따름.
1147~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동(祖同)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동고(趙東皐)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조랑(曹郞)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조래(徂徠) - 석개(石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부모상을 당하여 조래산(徂徠山)에서 농사를 짓고, 후에 국자감 직장(國子監直長) 등을 지냄. 《괴설중국론(怪說中國論)》을 지어 불가(佛家)와 노가(老家)의 설을 비판함.
1003~104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래산(徂萊山) - 조래산(徂徠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이백(李白)이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裴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조령(槽令)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룡(祖龍)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룡석(雕龍奭) - 추석(鄒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음양가(陰陽家). 추연(鄒衍)의 학술을 배웠는데, 추연의 글을 수식한 것이 용의 문채를 아로새긴 것 같다고 하여 ‘조룡석(雕龍奭)’이라 일컬어짐.
B.C.305?~B.C.24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