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룡지학(祖龍之虐)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조루(趙樓)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린(照鄰)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마(照磨) - 호약해(胡若海)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당시 군웅(群雄)의 한 사람이던 방국진(方國珍)이 명주 사도(明州司徒)로 있을 적에 그의 사신이 되어 공민왕(恭愍王) 때 고려에 옴.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만(曹瞞)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조맹(趙孟) - 조양자(趙襄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간자(趙簡子)의 아들로, 지(智)를 멸하고 한(韓)ㆍ위(魏)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을 이룸.
?~B.C.4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명(肇明) - 설앙(薛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자정전 대학사(資政殿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무(曹武) - 목공(穆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60~B.C.757. 형 석보(石甫)를 시해하고 왕위에 오름. 아들 환공(桓公)이 뒤를 이음.
?~B.C.7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조문열(趙文烈)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조문절(趙文節)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문정(曺文貞)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문정(趙文正)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문정(趙文貞) - 조용(趙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대사성(大司成)ㆍ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등을 지냄. 진보조씨(眞寶趙氏)의 시조.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백(曹伯) - 환공(桓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57~B.C.702. 조 나라 목공(穆公)의 아들.
?~B.C.7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조백순(趙伯循) - 조광(趙匡)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 담조(啖助)의 문인(門人)으로,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를 짓고, 《오경정의(五經正義)》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학풍은 송(宋) 나라 유학(儒學)에 영향을 미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백옥(趙伯玉)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병(趙昺)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복(調伏) - 율(律)
불교 용어로 불가(佛家)의 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戒律). 부처에게 기도(祈禱)하여 불력(佛力)으로 원적(怨敵)과 악마(惡魔)를 제어하는 것.
사상>이론>교리
-
조비(曹丕) - 문제(文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220~226. 후한(後漢) 헌제(獻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魏)를 세움.
187~22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비경(趙飛卿)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