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인초(軔初) - 유희발(柳希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가담하였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죽임을 당함.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인충(仁忠) - 송인충(宋仁忠)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간(宋侃)의 할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인표(仁表)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필(仁弼)@홍인필 - 홍인필(洪仁弼)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인필(仁弼) - 이인필(李仁弼)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구봉령(具鳳齡)의 외가 친척으로 구봉령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인필(寅弼) - 정인필(鄭寅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정지운(鄭之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인학(仁學) - 정인학(鄭仁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정은(鄭垠)의 아들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등을 지냄.
134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인함(仁涵)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인행(仁行)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헌(仁憲)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현(仁賢) - 이인현(李仁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 이영준(李英俊)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인형(仁亨)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인혜대비(仁惠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대왕대비(仁惠大王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대왕비(仁惠王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선효황제(仁惠宣孝皇帝)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혜왕비(仁惠王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호(仁豪) - 백인호(白仁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익견(白益堅)의 아들.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휘말려 장형(杖刑)을 받고 죽음.
1530~15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인혼(麟渾) - 김인혼(金麟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산(蔚山). 김인후(金麟厚)의 종제(從弟)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막하(幕下)에서 참모(參謀)로 활약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무신
-
인홍(仁弘)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