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 정운관(鄭云瓘)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일(迎日). 정몽주(鄭夢周)의 아버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일성왕(逸聖王) -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신라 제7대 왕. 재위 134~154. 말갈(靺鞨)의 침입을 자주 받았으나, 농본주의 정책을 펼쳐 제방을 고쳐 쌓고 농지를 개간하는 한편 백성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장려함.
?~15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성위(日城尉)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일소(日炤)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소(逸少)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일소(逸少)@피일휴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일손(馹孫)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송(一松) - 심희수(沈喜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종제이자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은거함. 저서로 《일송집(一松集)》이 있음.
1548~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일수왕(逸壽王)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승(日升)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시루(一是樓) - 태고정(太古亭)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정자. 1479년(성종 10) 박팽년(朴彭年)의 손자인 박일산(朴壹珊)에 의해 창건되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 후손에 의해 중건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누정
-
일신(一新)@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일신(一新)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일신(日新)@원종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신(日新)@의종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신(日新)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일신(日新)@조일신 - 조일신(趙日新)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조위(趙瑋)의 아들. 공민왕을 수종하여 원(元) 나라에 갔다가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봉해짐. 이후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가 왕에게 주살당함.
?~135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일신당(日新堂)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일악(一鶚) - 임악(林鶚)
중국 명(明) 나라 경제(景帝)~헌종(憲宗) 때의 문신. 형부 시랑(刑部侍郞)을 지냄.
1423~147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일암(一菴) - 학전(學專)
조선 전기의 승려. 신숙주(申叔舟)와 친분이 두터웠으며, 말년에 황해도 문화현(文化縣)의 패엽사(貝葉寺)에 기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