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일재(逸齋)@심호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일재선생집(一齋先生集) - 일재집(一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항(李恒)의 문집. 5세손 이성익(李星益)이 수습(收拾)한 유고(遺稿)를 종인(宗人) 이준구(李俊耈)가 박세채(朴世采)의 교정과 서문(序文)을 받아 간행함.
16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일재옹(一齋翁)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정(一正)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일제(日磾)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일죽(一竹)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일죽재(一竹齋)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일지(一之)@이윤순 - 이윤순(李允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서장(李恕長)의 아들로, 사후(死後)에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일지(一之)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일지(一之)@정해 - 정해(鄭獬)
조선 전기의 노비. 사가재(四佳齋) 서거정(徐居正)이 자설(字說)을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일지(一之)@남효순 - 남효순(南孝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냈음.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일초(一初) - 박근원(朴謹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朴光榮)의 손자. 병조 판서(兵曹判書)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강계(江界)로 유배되기도 했으며,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일초(日招)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통서(一統書)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일통지(一統志)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일평(逸平)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일평옹(逸平翁)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일학(一壑) - 김신원(金信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일호(一湖)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일호(一瓠)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