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동(林峒)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임둔(臨屯)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임란(壬亂)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명(臨溟) - 해월루(海月樓)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북도 청하현(淸河縣) 읍성 동헌(東軒) 부근에 세워진 누각 이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하 , 유적>건물>누정
-
임명루(臨溟樓) - 해월루(海月樓)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북도 청하현(淸河縣) 읍성 동헌(東軒) 부근에 세워진 누각 이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하 , 유적>건물>누정
-
임무백(任武伯)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무숙(任茂叔)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임백호(林白湖)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보(任甫)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임보(林甫)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임사구(林士久)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사수(林士遂)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사의(任士毅)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사재(任師齋)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임상(林湘)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임상덕(林尙德)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상인(林上人) - 은계(隱溪)
고려 후기의 승려.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ㆍ목은(牧隱) 이색(李穡) 등과 교유하였으며, 《삼봉집(三峰集)》과 《목은고(牧隱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임생(任生) - 강수(强首)
통일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문무왕(文武王) 때의 학자ㆍ문인.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ㆍ〈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가 전함.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沙飡)의 관등을 받음.
?~69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임서하집(林西河集) - 서하집(西河集)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임춘(林椿)의 문집. 1222년(고종 9) 최우(崔瑀)가 서경(西京)의 제학원(諸學院)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함.
12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문헌>서명
-
임석천(林石川)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