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성부수(任城副守) - 이언정(李彦廷)
조선 전기의 종친. 의흥위 호군(義興衛護軍) 김봉서(金鳳瑞)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임성왕(任城王)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임수경(林守經) - 박수경(朴守經)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서 별좌(造紙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임숙무(林叔茂)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임순(林淳) - 이임순(李林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공을 세운 이휘재(李彙載)의 아버지로,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임승주(林承柱) - 임연(林衍)
고려의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최의(崔竩)를 죽여 그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음.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淐)을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몽골의 위협에 다시 원종을 복위시킴.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임심(臨深) - 윤순(尹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겸(尹繼謙)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임아퇴(任阿堆) - 임방(任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때에 황문 시랑(黃門侍郞)과 신안 태수(新安 太守) 등을 지냈으며,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460~50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안(臨安) - 항주(杭州)
중국 절강성(浙江省) 북부에 있는 도시. 소주(蘇州)와 함께 아름다운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隋) 나라 때 건설한 대운하의 남쪽 끝지점이 됨. 남송(南宋) 때는 수도가 되었으며, 오늘날 성도(省都)로서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임언성(林彦成)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언정(林偃正) - 임언군(林堰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
?~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업(林𢢜) - 임서(林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으로, 임복(林復)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570~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연(臨淵)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임연재(臨淵齋)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임영(臨瀛)@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임영(臨瀛) - 임영대군(臨瀛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銃筒) 제작을 감독하고, 문종(文宗) 때 화차(火車)를 제작하였으며, 세조(世祖)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
1418~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영군(臨瀛君) - 임영대군(臨瀛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銃筒) 제작을 감독하고, 문종(文宗) 때 화차(火車)를 제작하였으며, 세조(世祖)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
1418~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영김씨(臨瀛金氏) - 강릉김씨(江陵金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5세손으로 시중(侍中)을 지내고 명주군왕(溟州郡王)에 봉해진 김주원(金周元)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임옥산인(林屋山人) - 유염(兪琰)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하여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등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와(林窩) - 한준민(韓俊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 손자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내다가 광해군 때 사직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