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준공(臨淮公) - 유형(劉衡)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임준공(臨淮公)으로 봉해졌는데, 관작에 나아가지 못하고 죽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임중(任重) - 이방주(李邦柱)
조선 전기의 유학.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였으며, 유희춘이 그에게 준 시가 《미암집(眉巖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중(任重)@이대기 - 이대기(李大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전치원(全致遠) 등과 정인홍(鄭仁弘)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청풍 군수(淸風郡守)ㆍ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초계(草溪)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됨.
1551~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임지(任之)@윤임 - 윤임(尹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오빠.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청되어 유배 도중 사사됨.
1487~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임지(任之) - 윤신(尹信)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이(尹希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임진당(任眞堂) - 채세영(蔡世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첨정(僉正)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며, 천문(天文)ㆍ의약(醫藥)ㆍ중국어(中國語)에 정통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진란(壬辰亂)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진민족수호전쟁(壬辰民族守護戰爭)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진조국수호전쟁(壬辰祖國守護戰爭)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진조국전쟁(壬辰祖國戰爭)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창계(林滄溪) - 임수(林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순창(淳昌). 문장에 뛰어나 오상(吳祥)ㆍ김주(金澍) 등과 함께 당대 팔문장(八文章)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천(林川)@진암수 - 진암수(陳巖壽)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내자 판관(內資判官)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457~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임천(林泉)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천(臨川)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천(臨川)@오징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천(臨川)@왕안석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천사우(臨川祠宇) - 임천서원(臨川書院)@진주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된 서원. 강응태(姜應台)ㆍ이준민(李俊民)ㆍ성여신(成汝信)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천오씨(臨川吳氏)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천왕(臨川王) - 유의경(劉義慶)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유유(劉裕)의 조카로, 성품이 소박하고 문학을 좋아하여 《세설신어(世說新語)》ㆍ《유명록(幽明錄)》 등을 저술하였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등을 지냄.
403~4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임천향사(臨川鄕社) - 임천서원(臨川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18년(광해군 10)에 사액서원이 되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08년에 복원됨. 김성일(金誠一)이 배향됨.
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