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건(子建)@진식 - 진식(陳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1506년(연산군 1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瑞山郡守)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관인>문신
-
자건(子騫)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건(自健)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자건(自健)@이자건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걸(子傑)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격(子格)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堅) - 음갱(陰鏗)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진(陳) 나라의 문신ㆍ시인. 양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에 들어가 원외 산기상시(員外散騎常侍) 등을 지냄. 시(詩)에 뛰어나 하손(何遜)과 함께 ‘하음(何陰)’으로 불리기도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견(子堅)@이고 - 이고(李固)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대사농(大司農)ㆍ태위(太尉) 등을 지냈으나, 양기(梁冀)에 의해 하옥되어 살해됨.
?~14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見)@정호인 - 정호인(鄭好仁)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낸 정안번(鄭安藩)의 아들.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見)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견(自堅)@정자견 - 정자견(丁自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사(僉知事)를 지냈으며, 80세 이후 노직(老職)으로 당상(堂上)에 오름.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金安國)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견(自堅) - 이자견(李自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창(咸昌)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4~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결(子潔) - 윤속(尹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백령(尹伯齡)의 아들로, 부정(副正) 윤광령(尹光齡)에게 출계함.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겸(子謙)@황윤준 - 황윤준(黃允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 - 배익신(裵益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이자겸 - 이자겸(李子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겸(子謙)@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이증 - 이증(李增)@이이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자,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아들이며, 돈녕부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장인.
1453~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겸(資謙) - 이자겸(李資謙)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외척. 본관은 인주(仁州). 딸이 인종의 비(妃)가 되자 익성공신(翼聖功臣)에 녹훈됨. 예종의 사후 어린 인종을 즉위시킨 뒤 권세를 독차지하고 왕을 독살하려다 왕의 밀명을 받은 척준경(拓俊京) 등에 의해 처형됨.
?~11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왕실>인척
-
자경(子京) - 등종량(滕宗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천장각 대제(天章閣待制)ㆍ정언(正言)ㆍ사간(司諫) 등을 역임하였고, 범중엄(范仲淹)과 교유함.
991~104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