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경(子儆) - 홍자경(洪子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버지로,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卿)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경(子庚) - 공자오(公子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신. 영윤(令尹)이 된 후 선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鄭) 나라를 정벌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루지 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慶) - 최한정(崔漢禎)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의 신임이 각별하여, 이를 시기한 임사홍(任士洪)이 임용을 반대하자 도리어 그를 대사간(大司諫)으로 발탁하였다는 일화로 유명함.
1427~14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擎)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나전 - 나전(羅恮)
조선 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나윤명(羅允明)의 아들. 1555년(명종 10)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성제원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이인전 - 이인전(李仁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만간(李萬幹)의 아들로,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감정(監正)ㆍ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이신효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왕헌지 - 왕헌지(王獻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부친으로부터 서법을 이어받아 호기 있는 서풍(書風)을 완성함.
344~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조서강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어세공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유성 - 유성(柳惺)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영길(柳永吉)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이 이끄는 소북(小北)으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2~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기준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景)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璥) - 홍자경(洪子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버지로,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耕) - 황순(黃㽦)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이며 황정견(黃庭堅)의 질손(姪孫)으로, 군기감 승(軍器監丞)ㆍ지원주(知袁州) 등을 지냄.
1150~12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경(自敬)@신자경 - 신자경(申自敬)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둘째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호군(大護軍)을 지냄.
1413~14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무신
-
자경(自敬)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