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교(子喬)@왕자교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구(子久)@여이징 - 여이징(呂爾徵)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때 종묘(宗廟)의 위패를 모시고 강화(江華)로 피하였으며,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함. 성리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서화(書畵)에도 뛰어났음.
1588~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구(子久)@강학년 - 강학년(姜鶴年)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掌令)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 효종(孝宗) 때 홍명하(洪命夏)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회덕의 용호사(龍湖祠)에 제향됨.
1585~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구(子久) - 성력(成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구(子具) - 김이첨(金爾瞻)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우(金爾盱)ㆍ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구(子具)@김첨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굴산(自堀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자굴산(闍崛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자규(子糾) - 공자규(公子糾)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의 동생. 양공(襄公)이 시해되자, 형인 환공과 내전을 벌이다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근(自謹) - 신자근(申自謹)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맏아들로, 인순부 윤(仁順府尹)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금(子禽) - 문종(文種)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월왕(越王) 구천(句踐)의 대부(大夫).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평정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급(子伋) - 정자급(丁子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의 아버지로, 승문원 부교리(承文院副校理)ㆍ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器) - 윤부(尹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함.
151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奇) - 윤해(尹侅)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암(尹諳)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역임함.
1307~137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幾)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期)@상수 - 상수(向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算騎常侍) 등을 지냄. 《장자주(莊子注)》를 편찬하였고, 사(辭)와 부(賦)에 뛰어났으며, 혜강(嵆康)과 논한 〈난양생론(難養生論)〉이 《혜강집(嵆康集)》에 수록되어 있음.
230~2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기(子期) - 종자기(鍾子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백아(伯牙)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하였는데,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으면서, 세상의 음률(音律)을 이해하는 자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자기(子綦)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기(自基) - 박자기(朴自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인량(朴寅亮)의 아버지로,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기금(子期琴) - 현금(玄琴)
거문고. 우리나라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고구려 때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 오동나무 공명판(共鳴板)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
한국>고구려 , 물품>기타용품>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