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량(子良)@소자량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자량(子良)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량(資諒) - 유자량(庾資諒)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인(武人)들과 교제하여 무신의 난 때 화를 면하였고,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치사(致仕)하였음.
1150~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자렴(子廉) - 한사개(韓士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신도비(神道碑)를 찬함.
1453~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로(子路)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룡(子龍)@신도반 - 신도반(申屠蟠)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산 속에 들어가 살면서 대장군 하진(何進)과 동탁(董卓) 등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節操)를 지키며 여생을 마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자룡(子龍)@박종린 - 박종린(朴從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박동량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 - 고한운(高翰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응척(高應陟)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냄.
1552~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김덕보 - 김덕보(金德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의병. 본관은 광산(光山). 김붕섭(金鵬燮)의 아들로, 임진왜란ㆍ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71~162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룡(子龍)@최운 - 최운(崔雲)@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조운 - 조운(趙雲)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명장(名將). 공손찬(公孫瓚)의 휘하에 있다가 유비(劉備)에게 귀의하였으며, 단기필마로 위기에 처한 감부인(甘夫人)과 유선(劉禪)을 구해내는 등 용감무쌍하였으며, 여러 싸움에서 많은 공을 세움.
?~22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룡(子龍)@권반 - 권반(權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찬성(贊成) 권제(權踶)의 아들. 1453년(단종 1) 형 권람(權攬)과 함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 부윤(開城府尹) 등을 지냄.
1419~14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류(子柳) - 설류(泄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유학. 목공(繆公)이 그의 어짐을 듣고 찾아가 보려 했으나 문을 닫고 들이지 않았으므로, 맹자가 단간목(段干木)과 함께 너무 심하다고 지적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릉(子陵)@이경엄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릉(子陵)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릉(子陵)@이부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자리(子履)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리통감(資理通鑑)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림(子臨) - 정항(鄭沆)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서(鄭敍)의 아버지로, 우정언(右正言)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080~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