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립(子立)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자맹(子孟) - 곽광(霍光)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의 이복 동생으로, 무제ㆍ소제(昭帝)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냄.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
?~B.C.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맹자(子孟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면(子勉) - 고하(高荷)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난주 통판(蘭州通判) 등을 지냈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면(子勉)@임적 - 임적(林積)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명(子明)@위표미 - 위표미(韋表微)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史)ㆍ호부시랑(戶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여몽 - 여몽(呂蒙)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명장. 주유(周瑜)ㆍ정보(程普) 등과 함께 적벽(赤壁)에서 조조(曹操)의 군대를 크게 격파함.
178~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명(子明)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정사성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명(子明)@왕단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中) - 김일(金軼)@김수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ㆍ황주 목사(黃州牧使) 등을 역임함.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자중(子中)@정유일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仲)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重)@탁지수 - 탁지수(卓持守)
조선 전기의 문신. 사인(舍人)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셋째 아들로, 탁세영(卓世瑛)에게 출계하였으며,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重)@이후 - 이후(李垕)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중종(中宗)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의 현손(玄孫). 한충(韓忠)의 문집인 《송재집(松齋集)》에 〈삼송정실기(三松亭記實)〉가 실려 있음.
1611~16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중(子重) - 석돈(石𡼖)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종유(從遊)하며 이학(理學)을 공부하였으며, 지남강군사(知南康軍事) 등을 지냄.
1128~11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중(滋仲)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자중(自重) - 김자중(金自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중귀(紫中貴)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