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지(子芝) - 정자지(鄭子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벼슬은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이정은(李貞恩)ㆍ이총(李摠)과 함께 아악(雅樂)에 조예가 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자지(子遲) - 번수(樊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에게 인(仁)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
B.C.5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지(紫芝) - 원덕수(元德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명리(名利)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
696~75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지(自知)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지(自知)@조자지 - 조자지(趙自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하며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체포되어 국문(鞫問)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지상호(紫芝商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자지옹(紫芝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자직(子直)@남률 - 남률(南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중종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함.
14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자직(子直) - 양방(楊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 회계(會稽) 사람으로, 고량 태수(高凉太守)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직(子直)@조여우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진(子晉)@진유 - 진유(陳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덕(興德). 선무랑 녹사(宣務郞錄事)를 지낸 진승중(陳承重)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내고 1513년(중종 8)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자진(子晉) - 유순원(柳順源)
조전 전기의 문신. 《모재집(慕齋集)》에 〈유생원순원자진림정(柳生員順源子晉林亭)〉 등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珍)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쌍순 - 쌍순(雙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1558년(명종 13) 선과(禪科)에 급제하였으며, 시(詩)에 능하여 신응시(辛應時)ㆍ고경명(高敬命)ㆍ윤근수(尹根壽)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자진(子眞)@최숙생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함순 - 함순(咸淳)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함유일(咸有一)의 아들. 문헌공도(文憲公徒) 출신으로, 급제 후 최충헌(崔忠獻) 정권에서 한직에 머무르다가, 이인로(李仁老) 등과 강좌칠현(江左七賢)을 조직하여 시주(詩酒)를 일삼고 청담(淸談)을 즐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정박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진(子眞)@조전 - 조전(曺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고, 김종직(金宗直)의 처남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자진(子眞)@이순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자진(子眞) - 매복(梅福)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남창 현위(南昌縣尉)를 지내다 왕망(王莽)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