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충(子忠)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치(子治)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치(子治)@하복 - 하복(夏馥)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문신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이름을 숨기고 대장간에서 고용살이를 하다가 여생을 마침. 덕행으로써 팔고(八顧)의 한 사람으로 불림.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치(自治) - 오자치(吳自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정(影幀)을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치(資治)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강목(資治綱目)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쓴 역사서. 59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토대로 정통(正統)ㆍ비정통을 분별하고 대요(大要)와 세목(細目)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음. 주희는 대요만을 썼고, 제자 조사연(趙師淵)이 세목을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강목(資治綱目)@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 -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
조선 세종(世宗) 때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토대로 윤회(尹淮)ㆍ노숙동(盧叔仝) 등이 편찬하고 세종이 친히 교정을 보아 만든 책.
14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 -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
조선 세종(世宗) 때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토대로 윤회(尹淮)ㆍ노숙동(盧叔仝) 등이 편찬하고 세종이 친히 교정을 보아 만든 책.
14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자침(子沈) - 김세묵(金世默)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칭(子偁)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자탁(子濯) - 박조(朴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아들로, 《소고집(嘯皐集)》에 박승임의 답서(答書)들이 실려 있음.
1551~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태숙(子大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택(子澤) - 성자택(成子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성자항(成子沆)의 형으로, 왕자 교관(王子敎官)을 지냄. 1547년(명종 2) 윤임(尹任)의 당파(黨派)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사사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손침 - 손침(孫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경제(景帝) 때의 승상. 권신 손준(孫峻)의 종제(從弟)로, 제2대 황제인 폐제(廢帝: 손량(孫亮))를 폐위하고 손휴(孫休)를 세워 제3대 황제로 삼았으나,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다 결국 피살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자통(子通)@한금호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통(子通) - 권집경(權執經)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지신사(知申事) 등을 역임하였고,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이문화(李文和)와 서로 왕래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방유심 - 방유심(方惟深)
중국 송(宋) 휘종(徽宗) 때의 문인. 시가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고, 저서로는 《방비교집((方秘校集)》이 있음.
1040~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통(子通)@유작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김형 - 김형(金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맹함(金孟諴)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부형 - 부형(傅亨)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이인복(李仁復)이 원 나라에서 유학할 당시 동년지기로서 교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