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통(自通) - 서자통(徐自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자파(自坡) - 소자파(蘇自坡)
조선 전기의 문신. 소효식(蘇效軾)의 아들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냈으며, 소세량(蘇世良ㆍ소세검(蘇世儉)ㆍ소세양(蘇世讓)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패(子佩)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김이형 - 김이형(金以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구존유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평(子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평(子平)@노준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박병균 - 박병균(朴秉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을 지낸 박은(朴訔)의 손자이며, 형조 참판을 지낸 박규(朴葵)의 아들. 음보(蔭補)로 관직에 올라 사온서 령(司醞署令)ㆍ홍주 판관(洪州判官) 등을 지냄.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증조.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설거정 - 설거정(薛居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칙명을 받들어 924년(태조 7)에 후량(後梁)ㆍ후당(後唐)ㆍ후진(後晉)ㆍ후한(後漢)ㆍ후주(後周)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구오대사(舊五代史)》를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평(子平)@강자평 - 강자평(姜子平)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대사간(大司諫)ㆍ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사후(死後)에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추죄(追罪)되었으나 중종(中宗) 때 신원됨.
1430~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포(子布) - 장소(張昭)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손책(孫策)을 도와 오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보좌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음.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냄.
156~23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피(子皮)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하(子何) - 김이우(金爾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 김이첨(金爾瞻)의 동생이며, 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하(子夏)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하(子夏)@복상 - 복상(卜商)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문학(文學)에 뛰어났으며,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전하여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의 원류(源流)를 이루었고, 예(禮)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
B.C.507?~B.C.4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하(子賀) - 이장길(李長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이장곤(李長坤)의 형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惡政)을 자행했으며, 심정(沈貞)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하(自夏) - 이자하(李自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생원 이찬(李璨)의 아들이며,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이치(李致)의 아버지로, 적성 현감(積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자하도인(紫霞道人)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하문(紫霞門) - 창의문(彰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돈의문(敦義門)과 숙정문(肅靖門) 사이에 있던 서북간문(西北間門). 북한(北漢)ㆍ양주(楊州)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능양군(陵陽君)을 비롯한 의군(義軍)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