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한(子罕)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한(子翰) - 주세란(周世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안구(安覯)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지냄. 종형(從兄) 주세붕(周世鵬)이 차운한 시가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함(子諴)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자합(子合)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항(子沆)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해(自海) - 최자해(崔自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최원지(崔元之)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원평(原平)ㆍ밀양(密陽)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냄.
1363~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행(子行)@김여지 - 김여지(金汝知)
고려 창왕(昌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며 김자지(金自知)의 동생.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우헌납(右獻納)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행(子行)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자행(自行) - 김자행(金自行)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집의(執義) 김질(金晊)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관찰사(觀察使) 등을 지냄. 안동(安東) 태사묘(太師廟)의 묘우(廟宇) 터전을 마련함.
1412~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김건 - 김건(金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김유(金愉)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최충성(崔忠成)과 함께 남효온(南孝溫)을 방문하여 《소학(小學)》ㆍ《근사록(近思錄)》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자허(子虛)@이함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자허(子虛)@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박초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권수익 - 권수익(權受益)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권운(權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許)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헌(子獻)@김지 - 김지(金墀)@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칠언절구(七言絶句) 〈정김군자헌(呈金君子獻)〉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헌(子獻)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헌(自獻)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