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후(子厚)@유종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자후(子厚)@장재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厚)@이전 - 이전(李㙉)@1454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를 지낸 이인문(李仁文)의 아들.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형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등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後) - 이승종(李承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훈(字訓) - 성리자훈(性理字訓)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이 지은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서. 30조(條)로 이루어짐.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휘(自輝) - 김자휘(金自輝)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학자 김태정(金台鼎)의 아버지로, 상호군(上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휴(子休)@장주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휴(子休)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자휴(子休)@권동미 - 권동미(權東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초계 군수(草溪郡守) 등을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안자흠 - 안자흠(安子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판(刑曹參判) 안윤손(安潤孫)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아버지로, 제검(提檢)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김자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 - 신응지(申應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하였음.
1420~148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흥(子興)@김자흥 - 김자흥(金子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혼(金琿)의 아들로,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냈으며, 김원상(金元祥)ㆍ오현량(吳賢良)과 함께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함.
1264~132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흥(子興) - 곽자흥(郭子興)
중국 원(元) 나라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 말기에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원수(元帥)로 자칭하였고, 주원장(朱元璋)의 도움으로 여러 번 원군(元軍)을 격파함. 명(明) 왕조가 건국하자, 1370년에 저양왕(滁陽王)으로 추서(追叙)됨.
?~1355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자희(子姬)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작(碏) - 이작(李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봉성군(蓬城君) 이항(李恒)의 아들이고 언보(彦輔) 이경충(李景忠)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작(綽) - 이작(李綽)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해군에게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비하는 것이 부당함을 논함. 명성도정(明城都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작교(鵲橋) - 오작교(烏鵲橋)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에 나오는 다리 이름. 칠석(七夕)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만나게 하기 위해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에 모여 자기들의 몸을 잇대어 만든다는 다리.
유적>시설>기타시설
-
작두장(斫頭將) - 엄안(嚴顔)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黃忠)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작두장군(斫頭將軍) - 엄안(嚴顔)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黃忠)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