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잠양동주(潛陽洞主)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잠와(潛窩)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잠은(潛隱)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잠자(岑子) - 잠삼(岑參)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고적(高適)과 함께 시로 유명하여 흔히 고잠(高岑)이라 병칭함. 그의 시는 사의(辭意)가 청절(淸切)하고 문채와 풍치가 뛰어남.
715~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하몽계 - 하몽계(何夢桂)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도종(度宗)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냈으나,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小酉源)에 은거함.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저서에 《잠재집(潛齋集)》 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장근 - 장근(張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하고 경서와 역사에 통달함. 1573년(선조 6) 친구들과 함께 이황(李滉)의 위판(位版)을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모신 후 3년 시묘살이를 함.
1544~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잠재(潛齋)@왕야 - 왕야(王埜)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정집(朱子大全正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 - 김취려(金就礪)@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으로,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수원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응휘겸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재(潛齋)@서소연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재문집(潛齋文集) - 잠재집(潛齋集)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인 하몽계(何夢桂)의 문집. 11권. 명(明) 나라 때 8세손인 하순방(何淳訪)이 옛 책을 얻어 교정,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잠해(箴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잡(磼)@이잡 - 이잡(李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1578년(선조 11)에 오운(吳澐)ㆍ박유(朴愈) 등과 함께 고을을 잘 다스리지 못하고 행실이 바르지 못하다 하여 탄핵당함.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관련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잡(磼) - 신잡(申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으로 활약하였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1~160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잡단(雜端)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잡영(雜詠) - 도산잡영(陶山雜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거처하면서 지은 시. 40제(題) 92수(首)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잡화(雜花)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잡화경(雜花經)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장(場) - 이장(李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장(樟) - 정장(鄭樟)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들로, 중부(仲父)인 정곤수(鄭崑壽)의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출사(出仕)한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등을 지냄.
1569~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