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경(長卿)@유장경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전약수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 - 민귀서(閔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榮川). 1524년(중종 19) 안동의 용수산(龍壽山)에 있는 절에서 이해(李瀣)ㆍ이황(李滉)ㆍ이수령(李壽苓) 등과 함께 완월하며 연구(聯句)를 겨룬 시가 이해(李瀣)의 《온계일고(溫溪逸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장경(長卿)@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이긍익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장경(長卿)@맹희 - 맹희(孟喜)
중국 전한(前漢) 때의 역학자. 초연수(焦延壽)의 스승. 《주역(周易)》을 상수학(象數學)으로 해석하여, 자연의 변화와 인간사의 길흉을 괘효의 조합으로 풀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경(長卿)@이장경 - 이장경(李長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加平). 이철근(李鐵根)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이이(李頤)의 아버지.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냄.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양만용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庚)@이장경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장경(長庚)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경부(張敬夫)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경성(長庚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장계(長溪)@황정욱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長溪) - 장수(長水)
전라북도 동부 소백산맥(小白山脈) 서쪽 산간지대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행정지명
-
장계(長溪)@황정식 - 황정식(黃廷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들로, 우부승지(右副承旨)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529~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계곡(張谿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계공(長溪公)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군(長溪君)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노옹(長溪老翁)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부원군(長溪府院君)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