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계수(長溪叟)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응(張季鷹) - 장한(張翰)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제왕(齊王) 경(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고(張皐) - 장보고(張保皐)
통일신라시대 흥덕왕(興德王)~문성왕(文王聖) 때의 장군. 당(唐) 나라에 들어가 무령군 소장(武寧軍小將)을 지내고 돌아와, 청해진 대사(淸海鎭大使)가 되어 세력을 떨침. 신무왕(神武王) 즉위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였던 염장(閻長)에게 암살당함.
?~84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장곡(藏谷)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곡강(張曲江) - 장구령(張九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李林甫)의 모략으로 파직됨.
673~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곡선생문집(藏谷先生文集) - 장곡집(藏谷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권태일(權泰一)의 시문집. 3권. 철종(哲宗) 때 김도명(金道明)에 의해 수집, 간행됨. 이휘령(李彙寧)의 서문(序文)과 김도명의 발문(跋文)이 있음.
18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곤(長坤)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장공(長公) - 장지(張摯)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장석지(張釋之)의 아들로, 대부(大夫)에 이르러 면직된 뒤 강직한 성품을 굽히지 않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므로, ‘장공(長公)’은 세상에 아부하지 않는 사람의 대명사로 불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공제(長公堤) - 소공제(蘇公堤)
중국 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쌓은 제방. 항주 자사(杭州刺使)로 있을 때 서호(西湖)에 쌓은 것과 광동(廣東) 혜주(惠州)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豐湖)에 쌓은 것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장공주(長公主) - 개장공주(蓋長公主)
중국 전한(前漢) 제7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딸.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된 소제(昭帝)의 누나로, 좌장군(左將軍) 상관걸(上官桀)과 함께 모반을 꾸미다 실패하고 자결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장공천(張公泉) - 탁수(涿水)
중국 하북성(河北省) 탁주시(涿州市)의 서북쪽에 위치하는 강 이름. 탁록산(涿鹿山)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흐르며, 주(周) 나라의 도사 금고(琴高)가 이곳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장광(莊光)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장구(樟丘)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구보유(章句補遺) -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이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보완하여 만든 책. 목판본. 1책. 《대학장구》의 경(經)과 전(傳)에 편장(編章)의 서차(序次)를 바꾸고 새롭게 해석한 책으로, 1794년(정조 18)경 간행되었으며, 정조(正祖)의 어제서(御製序)와 노수신(盧守愼)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9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구집주(章句集註) -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 1권ㆍ《논어집주(論語集注)》 10권ㆍ《맹자집주(孟子集注)》 14권ㆍ《중용장구(中庸章句)》 1권 등 26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언어학적 해석의 타당성과 철학적 기초의 보편성이 높이 평가됨.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장길(張吉)@장정필 - 장정필(張貞弼)
고려 태조(太祖) 때의 공신(功臣).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이기는 데 크게 공을 세움.
898~978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길(長吉)@이하 - 이하(李賀)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문장에 뛰어나 한유(韓愈)ㆍ황보식(皇甫湜)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題材)를 애용하여 ‘귀재(鬼才)’라 불렸으며, 〈장진주(將進酒)〉 등의 명작을 남김.
790~81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길(長吉)@이장길 - 이장길(李長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이장곤(李長坤)의 형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惡政)을 자행했으며, 심정(沈貞)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장길(長吉)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남낭사(漳南浪士)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